광산이란
광산은 일정한 채굴 경계가 있는 채굴 광석의 독립 생산 경영 단위를 가리킨다.광산은 주로 1개 이상의 채광작업장(갱구, 갱도, 노천채집장 등)과 일부 보조 작업장이며 대부분의 광산에는 선광장(세탄공장)도 포함돼 있다.
광산의 규모
광산은 탄광금속광비금속광건재광화학광 등이다.광산 규모(생산능력이라고도 함)는 통상 연간 생산량이나 하루 생산량으로 표시한다.연간 생산량은 광산이 매년 생산하는 광석의 수량이다.생산량의 크기에 따라 대형, 중형, 소형의 3가지 유형으로 나뉜다.광산 규모의 크기는 광산 경제의 합리적인 서비스 연수에 맞춰야 인프라 비용을 절감하고 원가를 낮출 수 있다.광산 생산 과정에서 채굴 작업은 인력이 가장 많이 소모되고 물력이 가장 많아 자금 사용이 가장 많고 채굴 원가를 낮출 잠재력이 가장 큰 생산 고리이기도 하다.채굴 원가를 낮추는 주요 경로는 노동생산성 및 생산품의 품질을 높이고 물자소비를 낮추는 것이다.
광산에 대해서
1997년 7월 호주 연방과공기구(CSIRO)는 석탄탐사와 채굴에 관한 3개년 연구계획을 수립하고 3100만 호주달러를 투입해 자원평가, 채광공법 혁신, 광갱가스 제어 및 이용, 자동화, 안전과 자재정밀제어 등 6개 분야 18개 전문항목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그중 지질 평가와 응급대응이 가장 특색 있는 두 가지다.1) 지질 평가: 3D 블록 모델에 기반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갱이나 채집구의 지층환경(침적환경)을 평가하고, 3D 시뮬레이션(EF/F) 패키지를 통해 다양한 이질적 데이터(미진 감시 데이터, 중성자 감마 시료 채취 데이터 등)를 시각화하며, 유비쿼터스/유한차분(FE/FD) 모델링을 통한 착상 시뮬레이션 작업을 한다.2) 응급대응 : 제어장치, 모니터링 장비, 네트워크 표시등, 광부 이주파 레이더 송수신기로 구성돼 있으며, 무선통신 능력이 있어 가스폭발 등 갱내 재해가 발생한 후에도 갱내 광원의 위치와 안전상황을 보고할 수 있고, 놈바트(Numbat)라는 원격조종 무인 구급차를 개발해 폭발 후 부상자를 긴급 구조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실시간 광산측정, GPS 실시간 항법, GIS 관리와 보조 의사결정과 3DGM의 활용으로 국제적인 일부 대형 노천광산(우리나라 평삭, 호림하 광구 포함)은 사무실에서 광상모형, 광산채굴 계획을 생성하고 채장 설비와 연계해 동적 관리와 원격 지휘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이 밖에 전문가 시스템, 신경망, 퍼지 논리, 자적응 패턴 인식, 유전 알고리즘 등 인공지능 기술, GPS 기술, 병렬 계산 기술, 무선주파수 인식 기술, 암석 역학 문제에 대한 전역 최적화 방법, 원격 감지 기술 등이 지능광산 지질탐사 조사와 측정, 지능광산 설계, 지능광산 채굴, 계획과 통제, 광산재해 원격감지 예보 등 연구 분야에서 활용됐다.
'금속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석의 채굴 방법 및 문제 (6) | 2022.01.20 |
---|---|
광산에서의 안전 및 위험 (6) | 2022.01.20 |
나노소재의 성능과 응용 (6) | 2022.01.03 |
자성재료와 나노소재 (4) | 2022.01.03 |
복합 신소재 및 초전도재료 등 (6) | 2022.01.03 |
댓글